최종편집:2024-04-29 21:55 (월)
경총 "韓신산업 6개사 시총, 中텐센트 30% 수준 ... 과도한 규제 풀어야"
상태바
경총 "韓신산업 6개사 시총, 中텐센트 30% 수준 ... 과도한 규제 풀어야"
  • 이강미 기자
  • 승인 2022.05.06 16: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우리나라 주요 신산업 규제개선 방안' 발표
온라인 플랫폼, 해외는 先 산업 육성하는데 韓은 규제부터 추진
원격의료 금지 OECD 38개국 중 韓 포함 6개국 뿐 ... 한국 35년째 시범사업 중
글로벌핀테크기업 美 112 · 英 26 · 中 8 vs 韓 2곳뿐
서울 대흥동 한국경총회관 전경 ⓒ한국
서울 대흥동 한국경총회관 전경 ⓒ한국경영자총협회

[매일산업뉴스]온라인플랫폼, 바이오·헬스, 핀테크 등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3대 신산업 대표기업 6개사의 시가총액 합계가 중국 기업 텐센트의 3분의 1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과도한 규제 탓으로, 신산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선제적인 규제개혁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는 6일 ‘우리나라 주요 신산업 규제 개선방안’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히고 과도한 규제가 우리나라 신산업의 발목을 잡고 있다는 분석을 내놨다.

경총은 우리나라 3대 신산업(온라인 플랫폼, 바이오·헬스, 핀테크), 국내 6개사(네이버, 카카오,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카카오페이, 토스)의 시가총액 합계(195조3000억원, 4월 말 기준)가 중국 기업 텐센트 시가총액(630조4000억원)의 3분의 1수준 미만으로 글로벌 경쟁력 제고를 위한 신산업 분야 규제 환경 개선이 시급하다고 진단했다.

ⓒ한국경영자총협회
ⓒ한국경영자총협회

실제 미국, 중국, 영국 등 주요국에서는 유니콘 기업이 꾸준히 탄생하고 있는 반면, 우리나라는 전 세계 유니콘 기업의 1.14%에 불과한 상황이다. 미국 시장조사기관 CB인사이트에 따르면 지난 3월 기준 전체 유니콘 기업(기업가치 1조원 이상 비상장기업)은 1051개였다. 이중 우리나라 유니콘기업은 12개(1.14%)로, 주요국에 비해 열세한 상황이다.

온라인 플랫폼의 경우, 경총은 주요국은 선 산업 육성 후 부작용에 대한 최소 수준 규제를 논의하는 반면, 우리나라는 해외보다 유효한 경쟁이 이뤄지고, 산업 발전 초기 단계임에도 과도한 규제 도입이 추진되고 있다고 밝혔다.

EU는 글로벌 기업으로부터 자국기업 보호를 위해, 미국은 시장내 경쟁 촉진을 위한 규제 입법을 추진 중이지만 여러 요건을 모두 충족한 소수 기업만 대상으로 하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는 매출액 1000억원 이상 기업에 대한 규제 입법(공정위안)을 비롯해 다수 광범위한 규제 법안들이 국회 계류 중이다.

경총은 “국내 플랫폼 기업들이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경쟁국보다 과도한 규제를 지양하고 정부의 개입을 최소화하는 민간주도 자발적 자율규제로 선 산업 육성·발전을 도모해 나가야 한다”고 했다.

원격의료의 경우, OECD 38개국 중 원격의료 금지국은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6개국에 불과하다. 이미 선진국들은 원격의료를 넘어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으로 비대면 의료산업을 육성·발전시키고 있는 반면 우리나라는 1988년부터 35년째 원격의료 시범사업 중이다.

경총은 “코로나 팬데믹으로 원격의료 필요성에 대한 국민 공감대가 형성되었으므로 의료법 개정을 통한 환자-의료인 간 원격의료 허용으로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의 육성‧발전을 견인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핀테크와 관련, 영국 등 주요 선진국은 핀테크 산업을 차세대 성장동력 산업으로 적극 육성 중인 반면, 우리나라는 강력한 망 분리·개인정보보호·금융규제 등 사전적 포지티브 규제로 글로벌 경쟁력 확보가 어렵고, 유니콘 기업의 등장도 매우 드물다.

CB인사이트에 따르면 지난 3월 기준 글로벌 핀테크 유니콘 기업 217개사 중 미국 112개사, 영국 26개사, 중국 8개사가 있지만 우리나라는 2개사(토스, 두나무) 등 단 2곳에 불과하다.

경총은 “망분리 규제 완화를 조속히 추진하고, 개인정보보호 등 핀테크 산업 관련 규제를 네거티브 방식으로 전환하여 금융업과 타 산업간 융합‧발전할 수 있는 혁신환경을 조성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경총은 차세대 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혁신생태계 조성을 위해 ▲기업 성장 단계별 규제장벽 해소, ▲민간주도 자발적 자율규제로 선(先) 산업 육성 환경 조성, ▲ 첨단기술 융복합 산업 규제 해소를 위한 규제 총괄기구 신설을 제안했다.

이형준 경총 본부장은 “디지털 전환과 잠재성장률 하락이 빨라지면서 신산업 분야 규제개혁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시대적 과제가 됐다”면서 “부처별 중복·칸막이 규제를 해소하고, 국민 편익 증대와 투자 및 고용 창출을 고려한 범부처 차원의 규제개혁을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새 정부는 신산업에 대해 원칙 허용, 예외 금지의 네거티브 규제 원칙을 적용함으로써 차세대 성장동력 산업의 탄생과 발전을 위한 혁신 환경을 조속히 마련해주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