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2024-04-27 23:10 (토)
기준금리 연 3.5% 또 동결 ... '물가 안정' 인식
상태바
기준금리 연 3.5% 또 동결 ... '물가 안정' 인식
  • 이주연 기자
  • 승인 2023.04.11 11:5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 2월 이어 두 차례 연속 ... 2021년 8월 릴레이 금리인상 이후 처음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1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1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매일산업뉴스]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한 차례 더 동결해 연 3.5%를 유지하기로 했다. 한은이 2회 연속 금리를 동결한 것은 2021년 8월 금리인상 행진이 시작된 이후 처음이다. 고공행진을 이어오던 소비자물가가ㅏ 4%대 초반까지 떨어진 것이 기준금리 안정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는 11일 오전 서울 중구 한은 본부에서 통화정책방향 회의를 열고 현재 연 3.5%인 기준금리를 조정없이 동결했다. 2021년 8월 이후 지난 1월가지 이어진 금리인상 레이스가 최근 두 차례 동결로 마무리 수순에 접어들었다는 평가다.

한은이 기준 금리 동결을 결정한 데는 최근 다소 안정된 물가 상황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하반기로 갈수록 물가가 안정될 것라고 보고 있기 때문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3월 소비자물가지수(110.56)는 작년 같은 달보다 4.2% 올랐다. 상승률이 2월(4.8%)보다 0.6%p 떨어졌고, 작년 3월(4.1%) 이후 1년 만에 가장 낮았다.

소비자물가 추이 그래픽 ⓒ연합뉴스
소비자물가 추이 그래픽 ⓒ연합뉴스

다만 연내 최종 기준금리가 3.5% 수준으로 유지될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한다. 

우리나라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전분기 대비)은 수출 부진 등에 이미 지난해 4분기 마이너스(-0.4%)로 돌아섰고, 올해 1분기 반등도 장담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1∼2월 경상수지는 11년 만에 두 달 연속 적자를 기록했고, 통관기준 무역수지도 3월(-46억2000만달러)까지 13개월째 적자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여기에 미국의 물가·고용 상황 등을 고려하면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5월에 한번 더 베이비 스템(기준금리 0.25%포인트 인상)을 밟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Fed가 지난 3월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한 4.74~5%로 결정하면서 한국과 미국의 기준금리 차이는 1.5%포인트로 벌어졌다. 5월 이후엔 역대 최대 수준인 1.7%포인트 이상까지 벌어질 가능성이 있다. 

달러가 기축통화(국제결제·금융거래의 중심이 되는 화폐)라는 점에서 미국과 기준금리가 차이가 크게 벌어지면 국내 자금이 빠져나가고 원화가치는 떨어지는 (환율은 상승)위험이 있다. 원화가치가 하락하면 수입가격을 비롯한 물가가 더 오를 수 있다.

SVB 파산과 크레디트스위스(CS) 유동성 위기 등으로 고조된 금융위기 가능성도 한은의 추가 인상을 억제한 요인으로 거론된다.

한·미 기준금리 그래픽 ⓒ연합뉴스
한·미 기준금리 그래픽 ⓒ연합뉴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