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2024-04-29 14:35 (월)
올해 연간 무역수지 281.7억 달러 적자 전망 … 통계 집계 이래 최대
상태바
올해 연간 무역수지 281.7억 달러 적자 전망 … 통계 집계 이래 최대
  • 이강미 기자
  • 승인 2022.09.21 11: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경련, 15개 증권사 리서치센터장 대상 '무역수지 및 환율 전망' 조사
무역수지 300억 달러 이상 적자 전망 40.0% … 적자 기조 5∼6개월 더 지속될 것
원달러 환율 평균 1423원 전망 … 1480원까지 치솟는다는 예상도
'환율 안정 등 금융시장 불안 차단'이 가장 시급
21일 오후 부산항 신선대 부두에서 컨테이너 하역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9월 들어 20일까지 수출이 1년 전보다 줄어든 반면 수입은 늘면서 무역적자가 25년 만에 6개월 연속 이어질 가능성이 커졌다.  ⓒ연합뉴스
21일 오후 부산항 신선대 부두에서 컨테이너 하역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9월 들어 20일까지 수출이 1년 전보다 줄어든 반면 수입은 늘면서 무역적자가 25년 만에 6개월 연속 이어질 가능성이 커졌다. ⓒ연합뉴스

 [매일산업뉴스]올해 연간 무역수지가 281.7억 달러 적자를 기록하고 향후 환율도 1400원대로 뛸 것으로 전망되어 대외의존도가 높은 한국경제에 비상이 걸렸다.

21일 전국경제인연합회(회장 허창수, 이하 ‘전경련’)가 15개 증권사 리서치센터장들을 대상으로 '무역수지 및 환율 전망'을 조사한 결과, 올해 연간 무역수지는 281.7억 달러 적자로 전망됐다. 

이는 연간 기준 글로벌 금융위기(2008년 -133억달러), 외환위기 직전(1996년 -206억달러)를 상회하며 1956년 통계 집계 이래 최대 규모이다. 특히 무역수지 적자 규모를 300억 달러 이상으로 전망하는 응답도 40.0%에 달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전국경제인연합회

전문가의 절반 가량(53.3%)이 적자폭 정점을 올해 8월로 보았고, 10명 중 9명(86.7%)은 올해 11월 이내로 예상해, 최악의 상황은 넘겼거나 곧 끝날 것으로 해석된다. 하지만 적자 기조가 끝나는 시점을 평균적으로 내년 2월 초반으로 전망하고 있어, 지난 5개월간의 적자 국면(2022년 4~8월)이 향후 5~6개월 동안은 더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응답자의 60.0%가 적자 기조 종료 시점을 내년으로 보았다.

다수의 전문가들은 4분기 중 무역수지 적자가 개선되겠지만, 무역수지 적자 기조는 내년까지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수입측면에서는 7월 이후 국제 원자재 가격이 고점 대비 하락하고 있지만 원자재·에너지 가격이 여전히 높은 수준이며, 여기에 달러화 강세까지 더해져 수입물가에 큰 부담을 줄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수출 측면에서는 주력 수출 품목인 반도체 업황 악화 및 대중국 수출 부진, 글로벌 긴축과 전세계적인 물가상승에 따른 하반기 글로벌 경기 침체 본격화 등이 예상되어, 다수의 전문가들은 앞으로 수출 경기가 꺾일 것으로 전망했다. 일부는 수출 증가율 마이너스 전환 등 수출 경기가 급랭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전문가들은 상반기 수출 호조에 힘입어 올해 연간 수출액이 기존 최대치(2021년, 6444억달러)를 상회하는 695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수출경기가 하반기로 접어들수록 둔화할 것으로 예상되어 역대 최대 실적 예상치에도 안심할 수는 없는 상황이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전국경제인연합회
ⓒ전국경제인연합회
ⓒ전국경제인연합회

실제 국내 수출산업의 최대 위협요인을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60.0%가 ‘글로벌 경기 부진’을 꼽았고, ‘미중 패권경쟁에 따른 공급망 애로’(26.7%), ‘원자재가격 상승’(13.3%)이 뒤를 이었다.

15대 수출 품목 중 하반기 수출 하락폭이 클 것으로 전망되는 워스트(Worst) 3 품목은 컴퓨터, 반도체, 무선통신기기 순으로, IT 품목에 집중되었다. 우선, 컴퓨터는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에 따른 기업투자 유보 또는 위축, 인플레이션으로 PC 등 전자기기 수요가 부진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수출 효자 품목인 반도체는 글로벌 수요 둔화에 재고 과잉이 겹쳐 가격 하락이 심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무선통신기기는 지난해 코로나 호황의 기저효과, 글로벌 경기 둔화에 따른 전방수요 둔화, 애플 신제품 출시 등으로 부진할 것으로 보인다.

하반기 수출 증가폭이 클 것으로 전망되는 베스트(Best) 3 품목은 자동차, 이차전지, 석유제품 순으로 나타났다. 자동차는 상반기 차량용 반도체 공급난 해소에 따른 수출 확대, 원화 약세에 따른 가격경쟁력 개선에 힘입어 수출 호조가 기대된다. 이차전지는 글로벌 전기차 수요 확대 및 정책적 지원으로 수출 증가세가 지속될 전망이다. 석유제품은 고유가에 따른 제품가격 상승, 항공유 중심의 수요 회복으로 견조한 흐름이 예상됐다.

연일 고공행진을 이어가는 원달러 환율의 경우, 전문가들은 향후 최고가를 평균 1,422.7원으로 전망했다. 최근의 고환율 지속 시 기업에 미치는 영향을 묻는 질문에는 전문가의 3분의 2(66.7%)가 ‘원자재가격 상승 등 환율로 인한 비용부담이 수출증가를 상쇄’할 것이라고 보았다. ‘비용부담이 더 크다’는 응답도 26.7%로 높았다. ‘수출증가 및 이익증가에 도움’은 6.7%에 그쳤다. 한편, 전문가들은 고환율이 수입물가를 밀어 올려 무역수지를 악화시키는 복병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전국경제인연합회

현재의 상황에서 정부가 가장 중점을 둬야할 경제대책으로 ‘환율안정 등 금융시장 불안 차단’(28.9%)이 가장 많았고, ‘규제완화, 세제지원 등 기업환경 개선’(17.8%), ‘원자재 수급 및 물류애로 해소’(17.8%) 순으로 조사됐다.

유환익 전경련 산업본부장은 “무역수지 적자가 내년 초까지 이어지고 환율도 1400원대로 뛸 것으로 전망되는 등 무역과 환율에 비상이 걸렸다”라며 “특히 대외의존도가 높은 한국경제에는 큰 위협”이라고 강조했다. 유 본부장은 “금융당국은 금융시장 불안이 확산되지 않도록 모니터링을 강화하는 한편 향후 글로벌 경기 침체가 예상되는 만큼 기업들이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도록 규제개혁, 세제지원 등 경영환경 개선에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